OSI 모델 (Open Systems Interconnection Reference Model)
: 국제표준화기구(ISO)에서 만든 네트워크 통신의 7단계 과정
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 |
- 사용자 지원계층 - 서로 관련없는 소프트웨어시스템들의 상호연동을 가능하게 함 |
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 |
|
세션 계층 (Session Layer) |
|
전송 계층 (Transport Layer) |
- 상위계층(네트워크/데이터링크/물리 계층)<->하위계층(응용/표현/세션 계층)을 연결 - 하위계층에서 전송한 내용을 상위계층이 사용할 수 있는 형태가 되도록 보장 |
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 |
- 한 장치에서 다른 장치로 데이터 전송 시 필요한 물리적인 부분을 처리 (전기적인 규격, 물리연결, 물리주소 등) |
데이터링크 계층 (DataLink Layer) |
|
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 |
7. 응용 계층 (Application Layer)
-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함
- 사용자에게 보이는 유일한 계층이며 사용자를 위한 인터페이스 제공(FTP, SMTP, HTTP, DNS 등)
6. 표현 계층 (Presentation Layer)
- 응용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표준 포멧으로 변환
- 세션계층에서 온 데이터를 응용프로그램이 인식할 수 있는 데이터포멧으로 변환하여 응용계층에 전달(인코딩, 디코딩, 압축 등)
5. 세션 계층 (Session Layer)
- 프로세스사이에서 세션(Session)이라 불리는 연결의 확립하고 유지하며 동기화 하는 기능을 제공
- 표현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를 효율적인 세션관리를 위해 잛은 데이터 단위로 나눈 후에 전송 계층으로 내려 보냄
4. 전송 계층 (Pransport Layer)
- 세션을 맺고 있는 두 사용자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종단간(End-to-End, 송신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 - 수식컴퓨터의 응용프로그램) 제어를 담당
3. 네트워크 계층 (Network Layer)
- 송신자측에서 수신자측까지 데이터를 안전하게 전달하는 역할
- 논리적 링크를 설정하고 상위 계층 데이터를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
2. 데이터링크 계층 (DataLink Layer)
- 물리계층 그대로의 전송설비를 신뢰할 수 있는 링크로 변환
- 상위계층인 네트워크에게 오류가 없는 물리계층로 보이도록 함
- 물리계층에서 전송하는 비트(Bit)에 대한 비트 동기 및 식별기능, 원활한 데이터의 전송을 위한 흐름제어, 안전한 데이터 전송을 위한 오류제어 기능 등을 수행
1. 물리 계층 (Physical Layer)
- 데이터를 물리매체상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계층
- 전송을 위해 필요한 물리적 링크의 설정, 유지, 해제를 담당
- 사용자장비와 네트워크 종단장비 사이의 물리적, 전기적인 인터페이스 규정, 전송 선로 종류에 따라 전송방식과 인코딩방식 결정
'Programming > 초보의 공통 기초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인터넷 네트워크 정리 (0) | 2021.03.05 |
---|---|
2-(2) [네트워크] GET, POST의 데이터 전송방식 비교 (0) | 2018.04.16 |
2-(1) [네트워크] RESTful 정리하기 (0) | 2018.04.13 |
1-(3) [암호] RSA 암호화/복호화 소개 및 코드정리(JAVA 코드) (0) | 2018.04.11 |
1-(2) [암호] MD5 암호화 소개 및 코드정리(JAVA 코드) (0) | 2018.04.10 |